- 혁신도시 추진배경
- 혁신도시란?
-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지역의 산·학·연·관이 서로 협력하여 최적의 혁신여건과 수준높은 생활환경을 갖춘 새로운 차원의 미래형도시
- 건설배경
- 국가경쟁력의 중심이 국가 간에서 지역 간으로, 전환됨에 따라 세계 각국은 혁신과 역동성을 갖춘 특성화된 지역 개발을 추진중
- 산·학·연·관이 동반 입지하여 유기적으로 결합된 다양한 혁신 클러스터가 국가경쟁력의 원천으로 등장
- 지방을 제외한 수도권의 성장성과 혁신성만으로는 혁신주도형 경제로의 전환 불가능
- 수도권과 지방의 불균형완화와 자립형 지방화의 추진 거점 필요
- 최근 경부고속철도 개통, 정보통신 인프라 확충, 다양한 국가균형발전사업의 추진, 지방연구개발역량 확충 등의 여건 변화로 지방에서도 혁신을 위한 새로운 기회 요인이 많이 발생
-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을 촉매로 혁신성과 역동성을 갖춘 특성화된 도시를 건설하여 지역 발전의 거점으로 육성할 필요성 제기
- 건설효과
- 일자리 창출 : 133,000개
- 생산유발효과 : 연간 9조원
- 부가가치유발효과 : 연간 4조원
- 혁신도시 일반 현황
- 사업개요
- 위 치 : 전주시 장동·만성동·중동, 완주군 이서면 일원
- 규 모 : 9,909천㎡(전주 3,740, 완주 6,169), 계획인구 28,837명
- 사업기간 : 2007 ~ 2014년(1단계 '13.12.31 / 2단계' 14.12.31)
- 사 업 비 : 15,229억원
- 사업시행자 : 한국토지주택공사(69%), 전북개발공사(31%)
- 이전기관 : 12개 기관 ※ 이전기관현황
- 국토개발군(1) : 한국국토정보공사(구 대한지적공사)
- 농업지원군(6) : 농촌진흥청, 한국농수산대학, 국립농업과학원, 국립식량과학원, 국립원예특작과학원, 국립축산과학원
- 기 타 (5) : 지방행정연수원, 한국식품연구원, 한국전기안전공사,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, 국민연금공단
- 추진경위
- ‘05. 6. 24 :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 발표
- ‘05. 10. 28 : 전북혁신도시 입지선정 발표
- ‘06. 11. 23 : 혁신도시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고시
- ‘07. 4. 16 : 혁신도시특별법에 의한 예정지구 지정고시
- ‘07. 9. 4 : 혁신도시 개발계획 승인고시
- ‘07. 11. 5 : 토지 및 지장물 보상협의 착수
- ‘08. 3. 4 : 혁신도시 실시계획 승인고시 ‘08. 3. 18 : 부지조성공사 착공
- ‘08. 11. 3 : 토지공급 승인
- ‘13. 12. 31 : 사업준공(1단계)
- ‘15. 12. 31 : 전체사업준공
- 혁신도시 이전기관 추진현황
- 이전기관 배치도
- 이전기관 추진 현황
전주시 완주군의 이전기관명과 인원 부지 건축 부지매입 착공 준공예정 입주예정 연번 기관명 인 원 부지 (천㎡) 건축 (천㎡) 입주예정 계 4,916 6,652 552 전
주
시1 농촌진흥청 449 947 42 ‘14. 7월 2 한국국토정보공사
(구 대한지적공사)228 30 13 ‘13. 11월 3 한 국 농수산대학 161 394 52 ‘15. 2월 4 국민연금공단
(기금운용본부)846 53 51 ‘15. 6월 5 한국출판문화 산업진흥원 57 3 3 ‘15. 7월 완
주
군6 국립농업 과 학 원 1,162 906 107 ‘15. 3월 7 국립원예 특작과학원 480 1,799 69 ‘15. 3월 8 국립식량 과 학 원 318 934 49 ‘15. 3월 9 국립축산 과 학 원 314 1,237 40 ‘15. 3월 10 지방행정 연 수 원 100 182 47 ‘13. 8월 11 한국전기 안전공사 296 51 20 ‘14. 6월 12 한국식품 연 구 원 505 116 59 ‘16. 12월